728x90
반응형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청약 당첨시 계약금 마련하는 방법인데요. 

선분양, 전매제한의 경우로
보통은 10% 이지만, 20%를 계약금으로 한 달 이내에 마련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분양가가 9억이라면, 1.8억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인데요. 보통은 본인 현금 + 신용대출로 해결하거나, 지인찬스를 쓰기도 하지요..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을 보면 계약금은 집값의 10~20%, 중도금은 최대 60% 이내에서 사업시행자가 정할 수 있다고 나와있는데요. 계약금 10%, 중도금 60%, 잔금 30% 비율이 가장 많습니다.

 

청약인기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계약금을 1000만원으로 낮추기도 합니다만...

 

"계약금 없으면 청약하면 안되나요?" 이런 질문들을 많이 합니다.

"안돼요.." 왜냐하면 계약금 못넣으면 청약통장 날리거든요.. ㅠㅠ

 

 

기간 내 계약금을 지급하지 못할 시 불이익

  • 당연히 당첨 취소
  • 이미 당첨된 청약통장 재사용 불가(가입일, 납부기한 모두 초기화)
  • 다음 당첨까지 재당첨제한기간
  • 특별공급으로 신청했다면 특별공급 기회 소멸

 

그렇다면.. 어찌됐든 20% 마련하는 방법을 포기하기 전에 알아봐야 겠습니다.

중도금은 어찌어찌 집단대출로 됩니다만.. (이자 감당도 있어요.. 헐..)

잔금 30%도.. 주담보로 DSR는 봐야겠지만.. 집값 오른다 치고.. (나중일은 나중에 생각한다.)

 

먼저.. 계약금 20%이거 부터 신용대출은 물 다른거 있는지 한번 봐야겠어요.

 

1. 제1금융권을 활용하라

 대출비율이 높고 이자 부담이 적은 편, 단 서류나 자격조건이 깐깐하다. (대면/비대면 가능)

 

2. 제2금융권 활용하라
지역은행, 지방은행...한도가 높으나 금리도 높음..

 

3. 인터넷 1금융권

카카오, K뱅크

 

4. 약관 대출

보험, 청약통장 담보대출 (금리 3~4%)

 

5. 부동산 담보대출

1주택자 기준 약 50~60%, 상가, 토지 등

 

6. P2P 대출

개인과 개인간의 대출, 중간에 플렛폼 랜딧, 소딧 (금리가 7~10%), 먼저 플렛폼 수수료 지급,  매달 이자 별개

 

7. 공개투자

 

8. 거주자금 최소화

전세 → 월세로 돌리기

 

이상의 방법이 있습니다.

 

 

본인이 보유한 현재 자금을 잘 체크하시고,

필요한 자금은 얼마인지.. 1번부터 차례차례 검토하시면 좋을 거 같네요.

 

 

저도 지금 계산해보겠습니다. :)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